개발하는 루루언니

코딩테스트 : 369 게임 끝에 '3','6','9' 일때 출력값 나오게 하기 (심화) 본문

컴퓨터 정보/코딩 테스트

코딩테스트 : 369 게임 끝에 '3','6','9' 일때 출력값 나오게 하기 (심화)

혜닝혜루 2022. 12. 5. 22:18
728x90
반응형

문제: 369 게임에서 3의배수에 박수치는게 아닌 3,6,9 로 끝나는 숫자라면 '박수'를 출력하게 하는거다.

 

 

function 삼육구게임(num){
  let 변환해 = num.toString()
  if(변환해.charAt(변환해.length-1) === '3'){
    console.log('박수')
  }else if(
    변환해.charAt(변환해.length-1) === '6'){
      console.log('박수2번')
    }else if(
      변환해.charAt(변환해.length-1)==='9'){
        console.log('박수3번')
      }else{
        console.log('다른숫자야아ㅏ')
      }
}

삼육구게임(13)
삼육구게임(16)
삼육구게임(19)
삼육구게임(1)

<코드 해석>

 

1. 함수와 fi문 사용

2. let 변환해 = num.toStrign() 은 내가 매개변수로  숫자를 썻다면 문자로 바꿔주는 메소드이다.

3. 변환해 변수에 담긴 문자로 if문에 사용했다.

4. 변환해는 문자이므로 문자의 인덱스를 판별해주는 charAt 를 사용하여 길이를 체크하는데 끝나는숫자 이므로

length-1 을 사용해줬다

이말즉슨 (123)일경우 맨마지막인 3을 출력하고 싶을때는 -1 을 사용하면 되는것이다.

(123)에서 1을 출력하고 싶으면 공식인 charAt(변환해.length[0]) ==='1' 이런식으로 사용해야한다.

즉 인덱스로 판별하는걸 기억해야 한다.

5. 다른 코드는 위의 해석과 동일하다.

728x90